멤버 변수 중에서 모든 인스턴스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거나 같은 값이 유지 되어야 하는 변수는 static을 붙여 static변수로 사용한다. static변수, static메서드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클래스가 메모리에 올라갈 때 이미 생성되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tatic메서드는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인스턴스 변수는 인스턴스가 생성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인데 반해 static메서드는 인스턴스의 생성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static메서드의 사용시점에 인스턴스가 생성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static메서드에서의 인스턴스 변수 사용은 안된다. 메서드 내에서 인스턴스 변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메서드 호출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static을 ..
1. 메서드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문장(코드)들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으로 멤버 함수라고도 부른다. 메서드는 입력값을 받아 특정 로직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출력, 리턴한다. 하나의 메서드는 하나의 기능만 수행하는 것이 좋다. 2. 메서드를 사용하는 이유 1) 높은 재사용성 한 번 잘 만들어놓은 메서드는 계속해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중복 코드의 제거 코드를 짜다보면 중복되는 코드들이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코드들을 묶어서 하나의 메서드로 만들어 사용하면 중복을 줄일 수 있다. 중복을 줄이면 코드의 길이도 짧아지고 그로 인해 가독성도 높아진다. 또한 수정이 필요한 경우 메서드를 사용하면 메서드의 코드만 수정하면 되지만, 여러 중복된 코드들을 사용한다면 여러 곳을 수정하다보면 빠뜨리거나 잘..
1.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 ➡️ 객체의 속성과 기능들이 정의되어 있는 설계도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대로 생성된다. 클래스가 객체 그 자체가 아니다. 2. 클래스를 통한 객체 생성의 이유 하나의 잘 만든 설계도가 있으면 매번 고민하지 않고 설계도대로만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3. 인스턴스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인스턴스화라고 하며,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 객체의 속성과 기능들이 정의되어 있는 설계도 객체 :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일반적인 용어 인스턴스 : 특정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 자동차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자동차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4. 객체의 구성요소 객체는 속성과 기능의 집합이다. (속성 + 기능을 ..
1.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이다. 2. 배열의 선언, 생성 타입[] 변수명; // 선언 타입[] 변수명 = new 타입[길이]; // 생성 배열의 선언 : 배열을 사용할 참조변수를 위한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배열의 생성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배열을 생성할 때는 반드시 배열의 타입과 길이를 정해줘야 한다. 3. 배열의 초기화 배열은 생성과 동시에 해당 타입의 기본값으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따로 초기화를 할 필요가 없다.배열의 초기화 방법 5가지 int deptNoArr = new int[]{10, 20, 30, 40, 50}; int deptNoArr = {10, 20, 30, 40, 50}; int deptNoArr; deptNoArr = ..
반복문은 특정 조건동안 어떠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려고 할 때 사용한다. 1. for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때 사용 for문의 구조 for(초기화; 조건식; 증감식){ 수행할 코드 } for문의 수행 순서 초기화 ➡️ 조건식 검증 ➡️ 조건식이 참일 경우 수행문 수행 ➡️ 증감식 수행 ➡️ 조건식 검증 ... 초기화 : 변수를 초기화하는 부분으로 최초 한번만 수행된다. 콤마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변수의 타입은 같아야 함) 조건식 : 조건식의 값이 참이면 계속 반복하고, 거짓일 경우 for문을 벗어난다. 증감식 : 변수의 값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식이다.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은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생략이 가능하다 조건식이 생략될 경우 항상 true이기 때문에 무한반복하므..
제어문 : 프로그램의 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문장으로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다. 조건문에는 if문과 switch문이 있다. 1.if 1) if if문의 구조 if(조건문){ 조건문이 true일 경우 실행할 코드 } 조건문의 결과는 반드시 true, false이어야 한다. 보통 조건문에는 논리연산자, 비교연산자를 사용한 조건식을 사용한다. int age = 10; if(age = 10) System.print.ln("age : " + age); 조건문을 통과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가 한 줄일 경우 블럭({})은 생략 가능하다. int age = 10; if(age == 10) System.print.ln("age : " + age); 2) if-else if-else문의 구조 int age = 10; if..
2-2. 변수의 타입 변수 선언 시,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은 자료형을 선택해야 함 자료형 :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이 있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구분됨 1) 기본형(Primitive Type) 실제 값을 저장 문자형 : char(2) 정수형 : byte(1), short(2), int(4), long(8) 실수형 : float(4), double(8) 논리형 : boolean(1) 각 자료형의 범위 : -2^n-1 ~ 2^n-1 -1 (n : 비트 수) int : -2^31 ~ 2^31 -1 = 약 -21억 ~ 21억 실수형의 정밀도 float : 7자리 double : 15자리 2) 참조형(Reference Type) 객체의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