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문 : 프로그램의 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문장으로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다. 조건문에는 if문과 switch문이 있다. 1.if 1) if if문의 구조 if(조건문){ 조건문이 true일 경우 실행할 코드 } 조건문의 결과는 반드시 true, false이어야 한다. 보통 조건문에는 논리연산자, 비교연산자를 사용한 조건식을 사용한다. int age = 10; if(age = 10) System.print.ln("age : " + age); 조건문을 통과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가 한 줄일 경우 블럭({})은 생략 가능하다. int age = 10; if(age == 10) System.print.ln("age : " + age); 2) if-else if-else문의 구조 int age = 10; if..
2-2. 변수의 타입 변수 선언 시,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맞은 자료형을 선택해야 함 자료형 :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형식을 정의한 것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이 있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구분됨 1) 기본형(Primitive Type) 실제 값을 저장 문자형 : char(2) 정수형 : byte(1), short(2), int(4), long(8) 실수형 : float(4), double(8) 논리형 : boolean(1) 각 자료형의 범위 : -2^n-1 ~ 2^n-1 -1 (n : 비트 수) int : -2^31 ~ 2^31 -1 = 약 -21억 ~ 21억 실수형의 정밀도 float : 7자리 double : 15자리 2) 참조형(Reference Type) 객체의 주소..